연동장치(IXL) 목록

DIS 100

개요

DIS-100은 정보 인터페이스 장치로써, 구조가 간단한 모듈 타입으로 설계되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일체형 이중계 시스템으로 신뢰성 및 가용성이 우수하다.

외형

구성

주요기능

  • 19” 6U 표준 Size
  • 전면 유지보수 Port
  • 내부 배선 Zero
  • 전원 이중화
  • CPU 이중화
  • 수동/자동 계절체 기능 내장
  • 32 Point Digital I/O 이중화
  • 16 Port 시리얼 통신 이중화
  • 2 Port 이중화 LAN 인터페이스
  • 2 Port 이중화 HDLC Sync 통신
  • Application 개발 환경 개선: Simple & Easy

적용분야

  • 기존 철도신호 시스템에서의 IFS, IFC 신규 적용 및 대체
  • 전자연동장치
  • 데이터 전송장치
  • FEPOL 및 기타 통신 인터페이스

IFS

개요

IFS는 현장 역 신호장치들 사이에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IFS의 메인 모듈인 DIS-100은 기존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단순화하여 신뢰성, 유지보수성을 개선하였다. 전원 이중화와 LAN을 지원하며, RS-232/422/485 16 Port를 제공한다. IFS는 열차 운행에 관한 모든 표시 정보들을 관제센터로 전송하거나, 관제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들을 처리한다

외형

구성

주요기능

  • CDTS와의 인터페이스
  • 전자연동장치와의 인터페이스
  • 로컬 콘솔과의 인터페이스(LCC, MC 등)
  • 현장 신호 기기실 장치(ATOS, TLDS)와 인터페이스
  • 신호 보안 분소 설비(SSS)와의 인터페이스
  • 인접한 기기 집중역의 MPS와 인터페이스

적용분야

  • 철도신호 시스템의 통신 인터페이스

IFC

개요

IFC는 신호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전자연동장치, ATP/ATO장치, LCC와 연결되어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고, 주 통신망을 통하여 종합사령실과 현장의 신호기계실간의 정보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IFC는 산업용PC 기반으로 시스템의 신뢰성과 연속성을 위해 이중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동작 중인 계의 고장 또는 통신 오류 발생시, 자동 및 수동으로 예비계 시스템으로 절체 된다.

외형

구성

주요기능

  • 감시 및 제어정보의 송수신
  • Protocol 변환
  • 이중화
  • Data 로깅

적용분야

  • 철도신호 시스템의 통신 인터페이스

FEPOL

개요

FEPOL(역정보전송장치)은 고속철도 열차제어 시스템에서 연동장치(IXL)의 정보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개발된 장치이며, 다양한 시스템과의 시리얼(RS-232C, RS-422) 및 Ethernet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FEPOL은 대표적으로 SSI(전자연동장치), ATC(TVM430, TVMS), CTC(열차집중제어장치) 및 LCP(역조작반)와 인터페이스 되며, 제어정보 전송, 감시정보 생성, 경보메시지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외형

구성

주요기능

  •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수집
  • 수신 데이터에 대한 감시와 로깅
  • 로컬 및 관제센터의 제어명령 검사 및 실행
  • 열차 위치와 신호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 신호정보를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 전송

적용분야

  • 고속철도 IXL 시스템

로컬 감시제어 콘솔(LCC)

개요

로컬 감시제어 콘솔(LCC)은 역사의 신호기계실이나 역무실 등에서 운영되는 장치로써, 열차의 운행 및 현장 신호장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관할 신호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이 관제센터에 있을 경우, 로컬 감시제어 콘솔은 열차 운행 및 현장 신호장치의 모니터링 기능만을 수행한다. 관제센터의 제어기능이 로컬 감시제어 콘솔로 전환되면, 로컬 감시제어 콘솔을 이용하여 열차운행과 현장 신호장치의 모니터링 기능뿐만 아니라 열차와 현장 신호장치에 대한 제어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구성

주요기능

  • HMI(Human Machine Interface)와 SMV(Station Mimic View)를 이용하여 열차운행 및 현장 신호장치의 감시 및 제어 수행
  • 심볼을 통해 현장 신호장치의 상태 표시
  • 열차운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의 조회 및 인쇄 지원
  • 차량의 자동 운행(ATO)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ATO 차량 제어
  • 실시간으로 열차운행 상태 표시
  • Replay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 시간 이전의 열차운행을 재현하여 표시
  • 음성 경보 기능 지원
  • 실시간 알람 및 이벤트 표시

적용분야

도시철도용 로컬 콘솔
SSC(System Supervision Console) : 일반적으로 하나의 연동 역은 다수의 일반 역을 관할하며, 하나의 신호분소는 하나 이상의 연동 역을 관할한다. SSC는 하나의 신호분소가 관할하는 모든 역에 대해서 복수개의 콘솔 화면을 이용하여, 해당 관할 구간 내에 있는 차량이나 신호설비의 상태를 감시한다.

차량기지 화면

역 화면


LCC(Local Control Console) : 로컬의 역무실 또는 운전취급실에 설치되어 해당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와 현장 신호장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콘솔이다.

MC(Maintenance Console) : 로컬의 기계실 또는 신호분소에 설치되어 해당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와 신호설비의 상태만을 감시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솔이다. 일반적으로 유지보수 콘솔은 두 개의 모니터로 구성되고, 리플레이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다. 실시간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능이 있다.

차량기지용 로컬 콘솔
차량기지 콘솔 : 차량기지가 있는 신호분소와 검수고에 설치하며, 감시 및 제어의 편리성을 위해서 넓은 차량기지의 모든 레이아웃을 대형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신호설비와 차량의 운행을 감시하고 제어가 없는 감시용 콘솔과, 차량과 신호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기지 입출고 관리용 콘솔로 구분한다.

차량기지 차량 입출고 관리 화면

차량기지 검수고 콘솔 화면


시스템 절체장치(SCO)

개요

시스템 절체장치(System Change Over)는 이중계로 운영하는 시스템에서 외부 통신회선을 1계 또는 2계로 절체하는 장치이다.

외형

구성

  • 19” 3U 표준 Size
  • Power Supply
  • 제어 카드(CON)
  • 절체 카드(COB)
  • Mother Board

주요기능

  • 자동 계절체
  • 수동 계절체
  • 시스템의 운전 중단 없이 보드 교체
  • 1,2계 각각 최대 5개의 통신 channel을 동시 절체

적용분야

  • 이중계 시스템의 외부 데이터 통신 라인 절체